PHOTO, VIDEO, BODY PAINTING BY ROSIE OH
타투는 자해다.
나는 타투이스트임에도 불구하고 몸에 아무런 타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것은 어떠한 강렬한 충동에 가깝다. 온 몸을 타투로 빽빽하게 채운다면 나는 결국 blank state에서 빼곡하게 온 몸을 검게 채운 후 자연스럽게 소멸할 것이라는 공포이자 절제이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한국에서는 타투이스트를 두고 <현침살>을 갖고 태어난 자들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는 입에 칼을 물고 있어 타인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찌르고” “피를 보아야지만” 스스로가 살아남아 생존할 수 있다는 무속신앙에 근거한 정설에 가깝다.
전신 스타킹에 온통 문신을 채워넣으면서 삶을 새기나 그는 곧 죽음과 맞닿아있다. 문신이라는 행위는 아이러니하게도 삶을 향해 나아가지만 곧 천천히 행하는 자살에 가깝다. 삶과 죽음 그리고 타나토스와 딜리버런스(deliverance) 를 가지런히 정렬하려는 염원에 작품에 Alignment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Tattoo is a self harm. Although I've been tattooing for several years, I do not have any tattoos on my body. This decision stems from an intense impulse—a fear of filling my body entirely with tattoos, akin to covering a blank slate in black ink until I naturally disappear. It reflects both restraint and dread.
In Korea, where I was born and raised, tattoo artist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individuals born with "현침살" (Hyeonchimsal). This term originates from shamanistic beliefs, describing those who metaphorically "stab" others to "draw blood" in order to survive. It symbolizes their existential necessity to create through this act.
The act of tattooing, akin to inscribing life onto the body, paradoxically borders on death. It resembles a slow form of self-destruction—a slow suicidal attempt. This is an alignment of life, death, Thanatos (the death drive), and deliverance.